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대해 정리 해볼건데요,
내용이 아주 방대하므로 차근차근 복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용어도 많고 자극과 반응이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예시를 많이 다루겠습니다.
1.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기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학습의 개념
행동주의는 학습을 '경험의 결과로부터 나타나는 관찰 가능한 지속적인 행동의 변화' 라고 정의합니다.
(2)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기본전제
① 인간은 환경적 자극에 의해 변화되는 수동적 존재입니다.
② 학습은 자극과 반응이 연합된 결과이므로 학습이 곧 발달입니다. 학습=발달
③ 학습은 점진적이고 연속적으로 일어납니다.
2. 파블로프가 제시한 수동적(고전적) 조건형성이론 (06 중등, 09 초등)
*많은 용어들이 나오므로 예시를 떠올리며 각각을 잘 구분해야 합니다.
(1) 고전적 조건형성의 개념은?
처음에는 아무런 반응도 일으키지 못하던 중성자극이 본능적인 생리반응 또는 정서반응을 일으키는 무조건 자극과 연합되어 불안, 공포, 따뜻함, 행복감과 같은 정서적 반응과 빠른 호흡, 땀 등과 같은 생리적 반응을 유발하도록 학습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2) 기본 개념들에는 무엇이 있나
무조건적 자극(US) | 학습이 없어도 본능적인 생리반응이나 정서반응을 일으키는 사물이나 사건 | 고기 |
무조건 반응 | 무조건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본능적인 생리반응 또는 정서반응 | 침 |
중성자극 | 처음에는 학습자의 행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자극 | 종소리 |
조건자극 | 처음에는 중성자극이었으나 무조건적 자극과 연합되어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 | 종소리 |
조건반응 | 조건 자극에 의해서 학습되어 일으키게 되는 반응 | 침 |
*중성자극이 조건자극으로, 무조건반응이 조건반응으로 변화하게 되는 것.
*중성자극이 무조건 자극과 연합되면 나중에는 무조건자극이 없이 조건자극만으로도 조건반응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자극의 일반화
처음에는 아무런 반응도 일으키지 못하던 중성자극이 → 본능적인 생리 반응 또는 정서반응을 일으키는 무조건 자극과 연합되어 → 생리반응과 정서반응을 유발하는 조건 자극으로 학습이 되면 → 이와 유사한 자극에도 비슷한 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 이를 자극의 일반화라고 합니다.
-변별
조건 자극과 유사자극을 구분해서 반응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소거
조건반응이 형성되고 난 후 → 무조건 자극이 제시되지 않고 조건 자극만 반복해서 제시될 경우 → 조건 반응이 점점 약해져서 마침내는 일어나지 않게 되는 현상입니다.
-자발적 회복
조거 반응이 소거된 후 무조건 자극도 제시되지 않다가 조건 자극이 다시 제시될 경우, 소거된 것으로 보였던 조건반응이 재생하게 되는데 이를 자발적 회복이라고 합니다.
-재조건 형성
조건 자극과 무조건 자극을 계속하여 다시 연결하여 제시할 경우, 조건 반응이 원래의 강도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를 재조건 형성이라고 합니다.
-고차적 조건화
조건 자극이 학습을 통해 조건 반응을 형성하고 나면 그 자극은 무조건 자극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제 2의 중성 자극과 짝지어질 경우 제 2자극이 조건 반응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제3, 제4의 조건 자극을 만들어 낼 떄 이를 고차적 조건화라고 부릅니다. 교실에서의 예시는 다음에서 자세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3) 교실에서의 수동적 조건형성에 대해 알아보자.
-시험불안의 형성
① 시험(중성자극) + 실패(무조건 자극) → 불안 (무조건 반응)
원래는 시험에 대해 아무런 반응이 없다가, 실패를 경험하고 불안이라는 감정을 느낍니다.
② 시험(조건자극) → 불안(조건 반응)
시험과 실패가 연합되어 이제는 시험만 보면 불안이라는 조건 반응을 불러옵니다.
-교실의 분위기
① 교실(중성 자극) + 교사의 따뜻하고 친절한 태도와 미소(무조건 자극) → 편안하고 좋은 느낌(무조건 반응)
② 교실(조건 자극) → 편안하고 좋은 느낌(조건 반응)
-방과후 학습에 대한 혐오감이 형성되는 과정 :: 과제를 해오지 않은 것에 대한 벌로 방과후 학습을 시킨다면?
① 방과 후 학습(중성자극) + 벌(무조건 자극) → 혐오감 또는 부정적 감정(무조건 반응)
② 방과 후 학습(조건자극) → 혐오감 또는 부정적 감정(조건 반응)
*무조건 자극은 고기와 실패처럼 긍정적인 것 뿐만 아니라 벌이나 실패 등 부정적인 것도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일반화가 이루어지는 예시
① 화학시험(중성자극) + 실패(무조건 자극) → 불안감(무조건 반응)
② 화학시험(조건자극) → 불안감(조건반응)
이제 화학시험만 치면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③ 화학 시험에 대한 불안 일반화 → 화학과 비슷한 과목인 물리, 생물, 수학 시험에 대해서도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notice) 일반화와 고차적 조건화를 헷갈리면 안됩니다. 일반화는 같은 카테고리 내에서(시험이면 시험, 교실이면 교실)
말 그대로 generallization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면 되고, 고차적 조건화는 중성자극이 조건자극으로 변화한 것과 관련된 모든 요인(선생님 - 선생님 가방, 선생님 과목)에 대해 조건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이라고 보면 됩니다.
-고차적 조건화의 예시
① 교사(중성자극) + 따뜻하고 존중하는 태도(무조건 자극) → 좋은 감정을 가지게 함(무조건 반응)
② 교사(조건자극) → 좋은 감정을 가지게 함(조건반응)
③ 학교, 클럽활동, 다른수업(중성자극) + 교사(조건자극) → 좋은 감정을 느끼게 함(조건반응)
④ 학교, 클럽활동, 다른수업(조건자극) → 좋은 감정을 느끼게 함(조건반응)
(4) 고전적 조건형성의 활용은 어떻게?
활용1) 교사, 교실 및 수업에 대해 긍정적 감정 가지게 하기
처음에는 학생들에게 아무런 감정도 불러일으키지 못하던 교사와 교실 및 수업(중성자극→조건자극)을
편안하고 행복한 것(무조건적 반응→조건반응)으로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교실 및 수업에 학생들이 본능적으로
좋은 감정을 가지도록 해주는 미소, 격려, 칭찬, 성취감 등(무조건적 자극)이 연합되도록 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① 교사가 교실에 먼저 와서 따뜻하고 친절하게 맞이해 주기
매일 아침 교사가 교실에 먼저 와서 학생들을 따뜻하고 친절하게 맞아주게 되면 교사가 보여주는 미소, 친절함이
교사 및 교실과 연합되어 교사와 교실을 행복하고 따뜻한 것으로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
② 개방적 질문을 하고 다양한 답변을 칭찬하기
학생들이 하는 다양한 답변을 인정하고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 칭찬할 경우, 학생들이 인정받고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이
교사, 수업, 교실과 연합하게 되므로 화기애애한 수업 분위기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③ 실수를 했을 때 만회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다시 실수하지 않게 되었을 때 칭찬
실수를 해도 이를 언제든 만회하고 칭찬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고 판단이 되면 교사, 수업, 교실과 칭찬 및 성취감을 연합하게 되므로 학생들이 교사와 교실 및 수업을 편안하고 행복한 것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활용2) 체계적 둔감법
체계적 둔감법은 불안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이완 반응과 점진적으로 대체하여 부정적인 감정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기법입니다.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호흡을 통해 자신을 이완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이완호흡을 통해 근육의 긴장을 감소시키고, 호흡을 느리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② 불안 위계표를 작성하고 이에 따라 진행합니다.
-학생이 느끼는 불안의 정도에 따라 불안이 가장 크게 유발되는 높은 난이도 수준부터 가장 낮은 난이도 수준까지
구분하여 불안 위계표를 작성합니다.
-학생이 이완 상태가 되면 교사는 불안위계표 상에 가장 낮은 단계인 불안이 없는 장면부터 묘사하여 제시합니다.
-학생이 불안을 느끼지 않고 이완상태를 유지하면, 계속 진행하여 불안 위계표 상에 있는 가장 높은 수준에서도
이완을 유지할 수 있을 때까지 계속합니다.
이상으로 길고 긴 행동주의 이론의 복습을 마칩니다.
교실에서의 활용방안을 고전적 조건화와 잘 접목시켜 생각해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Pedagogy > 교육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 발달이론 : 인지적 특성 발달 (피아제 인지발달) (0) | 2021.10.24 |
---|---|
11.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0) | 2021.08.15 |
9. 셀만의 조망수용능력의 발달 (0) | 2021.08.13 |
8.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0) | 2021.08.12 |
7. 브론펜브뢰너의 생물생태학적 발달이론 (0) | 2021.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