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dagogy/교육과정 3

Skillbeck의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모형 (13, 07,11)

Skillbeck의 학교중심교육과정 개발모형. (1) 기본입장 상황분석 중시 타일러(전문가에 의한 개발이라 학교특성 반영 어렵)와 다르게 교육과정 개발할 때 학교가 처해있는 상황분석에 교육과정 개발의 출발점을 둠. 학교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구성 상황분석은 교육과정이 학교, 교사,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 개방된 상호작용 모형 교육과정 개발자가 인식하고 있는 요구에 적합하다 생각하는 단계에서 모형을 시작하도록 권고. -> 교육과정 개발자는 순서에 상관없이 단계를 거칠 수 있으며 몇몇 단계 결합해서 운영도 가능 (단점이 될 수 있다) (2) 개발절차 (상목프판피) 상황분석 외적요인 1) 사회,문화적 변화 2) 교육체제의 요구 3) 변하는 교과의 성격 4) 교사 지원체계 내적요..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한계와 개선 모형

안녕하세요. 이전에 정리한 교육과정 설계 모형에서 각 모형의 한계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나왔던 모형에 대한 설명이 빠져있어 한번 더 정리하겠습니다. 1. Tyler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08, 09 중등출제) 타일러는 교육목표의 설정에서 시작하여 이에 기초해 이루어지는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을 거쳐 평가에 이르는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제시하였습니다. 타일러는 교육 목표를 학생의 도착점 행동으로 진술하고 교육의 결과를 더 중시했습니다. 그래서 중간에 발생하는 학생들의 학습결손을 보완할 수 없었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모형이 위긴스와 맥타이의 백워드 설계 모형, 타바의 귀납적 모형입니다. 2. 위긴스와 맥타이의 백워드 교육과..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정리

안녕하세요? 실로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을 씁니다. 오늘은 모의고사에 자주 나오는 교육과정 개발모형에 대해 한번 싹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Tyler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08, 09 중등출제) 타일러는 교육목표의 설정에서 시작하여 이에 기초에 이루어지는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을 거쳐 평가에 이르는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제시하였습니다. (1) 타일러 모형의 기본성격 -목표의 우위 목표모형은 교육목표를 우위에 두고 교육과정의 모든 다른 측면을 교육목표달성의 수단으로 보는 교육과정 모형입니다. -처방적·연역적·직선적 모형 교육과정 개발자들이 따라야 할 절차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처방적 모형이고, 교과에서 단원으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연역적 모형이며, 목표에서 평가로 진행되는 일정 방향을 가진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