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dagogy/교육사회

4. 갈등이론의 하위이론들 (1)

포로로다영 2021. 8. 23. 00:49

안녕하세요?

오늘은 갈등이론의 여러 하위이론들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우선 갈등이론 밑에는 다음과 같은 이론들이 있습니다.

 

보울스와 진티스의 경제적 재생산론
브루디외의 문화적 재생산론
알튀세의 자본주의 국가론
애플의 문화적 헤게모니론
윌리스의 저항이론

 

이번 시간에는 경제적 재생산론과 문화적 재생산론만 먼저 복습하겠습니다.

 

1. 보울스와 진티스 (Bowles & Gintis)의 경제적 재생산론 (04, 08 중등출제)

 

-학교는 자본주의 경제구조 재생산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학교는 지배계급과 생산계급으로 구분되는 위계적인 자본주의 생산조직 내에서 지배계급과 생산계급에 맞는 지식과 기능 및 태도를 가르쳐서 자본주의의 불평등한 사회적 생산관계를 정당화하여 재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설명합니다. 

 

-상응이론

① 경제적 재생산론에서는 생산현장에서의 사회적 관계와 학교 교육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그 형식과 구조에 있어서 일치한다고 주장합니다. 

② 학교는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위계적인 사회적 관계구조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자본주의 생산현장에서 지배 복종관계 또한 당연한 것으로 여기게 하여 이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합니다. 

 

-차별적 사회화

① 학교가 학생 개개인이 속한 계급에 따라 다른 규범과 성격적 특성을 주입하는, 즉 차별적 사회화 과정을 통해 자본주의

생산체계가 요구하는 단순 노동자와 관리자 또는 경영자라는 인력을 배출하여 자본주의 생산구조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② 자본주의적 계급관계를 재생산하는 데 중심적인 것은 학교가 가르치는 인지적인 내용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내면화시키는 가치관과 성격적 특성, 즉 정의적 특성입니다. 따라서 학교는 인지적 내용을 주로 다루는 공식적 교육과정이 아니라 가치관과 의식을 은연중에 내면화시키는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서 지배와 복종의 사회관계를 학생들에게 내면화 시키고 있습니다. 

 

 


 

2. 부르디외(Bourdier)의 문화적 재생산론 (06, 09, 11 초등출제)

 

(1) 문화적 재생산론의 기본 입장

 

-학교는 기존질서 재생산 도구 

부르디외의 문화재생산이론에서는 학교가 지배집단의 문화자본을 재생산하고 정당화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지배계급에

유리한 기존 질서를 재생산한다고 설명합니다. 

 

-학교 교육내용은 지배계급의 문화로 구성

① 부르디외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식과 문화는 지배계급에 의해 선정된 것으로,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지배계급의

문화를 담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② 학교가 지배계급의 문화적 가치, 기준, 취향 등을 모든 계층에게 보편적인 것처럼 위장하여 학생들에게 주입함으로써

지배계급에 유리하게 되어 있는 기존 질서를 정당하고 합리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게 한다고 주장합니다.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에 큰 영향

① 문화적 재생산이론에서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과정이 지배계급의 문화이기 때문에 가정에서부터 이러한 문화에

익숙한 지배계급의 학생들은 높은 성취를 이루게 되고, 이에 생소한 하류계급의 학생들은 낮은 성취를 이룰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② 즉, 학생의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노력이 아니라 학생이 소속된 계급이라는

것입니다. 

 

 

 

(2) 자본의 유형

문화적 자본 ① 아비투스(habitus) 문화자본
교육이나 가정환경의 영향으로 개인에게 내면화되어 있는 문화능력을 말합니다.
② 객관화된 문화자본
문화적 재화들, 예를 들어 고서나 유명한 옛 그림 혹은 골동품과 같이 법적 소유권의 형태로 존재하는 자본을
말합니다. 
③ 제도화된 문화자본
교육제도를 통해 주어지는 졸업장, 자격증, 학위증서와 같이 공식적으로 그 가치를 보상받는 형태의 자본을
말합니다. 
경제적 자본 물건과 교환되는 화폐자본, 소유권 형태로 되어있는 자본으로 재산, 소득, 화폐를 매개로 하는 물적 자본을
말합니다.
사회적 자본 가문, 학벌, 정당 등과 같이 사회적 연고나 관계로 인해 형성되는 자본으로, 특정한 조건에서 경제적 자본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들입니다. 
상징적 자본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자본들을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재생산의 경로

 

부르디외는 학교를 통해 일어나는 재생산을 '제도화된 문화자본'을 통한 재생산과 '상징적 폭력'을 통한 재생산이라는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도화된 문화자본을 통한 재생산

① 학교의 교육내용은 지배계급의 문화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회적 선발의 기준이 되는 시험은 지배계급의 아동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그래서 지배계급의 아동이 더 좋은 성적을 받고 더 좋은 학교에 진학하게 되며, 그 결과 더 높은 지위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② 결국 학교는 시험 성적과 졸업장을 통해 선발이 개인의 능력에 근거한 것처럼 위장하여 지배계급의 권력과 특권이 무리 없이 다음 세대에 전수되도록 정당화합니다. 

 

-상징적 폭력 또는 아비투스를 통한 재생산

① '상징적 폭력'이란 지배계급의 가치와 취향을 모든 계급의 학생들에게 주입하여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의식을 지배하고 

통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② 교육의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습득하게 되는 특정한 지각과 이해의 방식을 '아비투스(habitus)'라고 합니다.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지배계급의 아비투스를 내면화하게 되면, 지배계급의 문화를 보편적이고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되어 기존 질서가 정당화된다는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 이어서 나머지 세 이론을 공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