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교육학 스터디 한 내용을 복습하고 자러 가겠습니당
교육평가 첫 내용!
Part1 교육평가의 의의
01 교육평가 개념
1 측정, 평가, 총평(사정이라고도 함)
측정: 사람이나 대상의 속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수치를 부여하는 절차
예) 당신의 키는 180cm, 성적은 80점
평가: 측정과 다르게 측정을 통해 수집한 자료에 대해 가치 판단을 내리는 활동
예) 키가 180cm인 사람은 키가 큰 것이다
총평: 여러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인간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2 측정관, 평가관, 총평관 (97 출제)
기준 | 측정관 | 평가관 | 총평관 |
인간 행동에 대해 | 인간 행동의 불변성 | 인간 행동 특성은 변화함 | 환경과 개인의 역동적 관계에서 변화하는 특성 |
선발적 교육관에 토대 | 발달적 교육관 | 인본주의적 교육관 | |
중시하는 기준 | 객관성, 신뢰성이 주된 관심 | 내용타당도 중시 | 구인타당도에 관심 |
관심 | 측정방법의 표준화 | 다양한 증거와 증거수집 방법 | 다양한 증거의 수집 |
환경에 대한 관점 | 환경을 오차변인으로 간주 | 환경을 행동 변화의 자원으로 간주 | 환경을 학습자 변화의 한 변인으로 간주 |
평가 활용 | 측정결과를 선발, 분류에 이용 | 평가를 교수방법 등의 효율성 판단에 활용 | 개인의 특성에 대한 의사결정에 활용 |
3 교육관과 평가관
선발적 교육관 | 발달적 교육관 | 인본주의적 교육관 |
유전론 입각, 인간 지적 능력은 타고났으며 고정적 -> 변하지 않는다 | 환경론 입각, 모든 학습자에게 적절한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하면 누구나 교육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는 신념 | 인간을 환경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존재로 간주, 교육을 인성적 성장, 통합을 위한 자아실현의 과정이라고 전제 |
교육실패하면 학습자 책임 | 교사 책임 | 교사와 학습자 공동의 책임 |
평가 목적: 우수자 선발 | 목적: 교수 방법의 적절성 파악 및 개선 | 목적: 전인적 특성 파악 |
측정관 입장 | 평가관 | 총평관 |
'Pedagogy > 교육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평가 모형 2 스크리븐의 판단모형 (탈목표평가 모형) (07 중등) (0) | 2022.05.14 |
---|---|
교육평가 모형 1 타일러의 목표성취 모형 (11초등) (0) | 2022.05.14 |
타당도, 신뢰도 그리고 객관도 (1) | 2021.09.25 |
평가문항의 제작 (1) 선택형 문항 (0) | 2021.08.19 |
Bloom의 교수목표 분류 (2) 정의적, 심동적 영역의 교수목표 (0) | 2021.08.19 |